- 자동화 설정 >> 급여 정책 >> 1. 월급날
사업장의 월급 날 관련해서 설정을 합니다. 급여 일과 급여 정산 기간을 선택합니다.(월급 기준)
급여 정산 기간(귀속) 시작일은 1일 선택 시 두 가지 옵션이 제공됩니다. - 익월 급여 : 지난달 1일부터 ~ 지난달 말일까지
- 당월 급여 : 당월 1일 부터 ~ 당월 말일까지
- 그 외 급여 정산 기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- 자동화 설정 >> 급여 정책 >> 2. (통상)근로조건
사업장의 (통상) 근로조건을 설정합니다.
일반적인 사업장의 출근 요일, 휴게시간, 출퇴근 시간, 직원들의 소득 유형 등 근로조건에 대해서 설정이 필요합니다.

- 자동화 설정 >> 급여 정책 >> 3.초과근무 수당
연장, 야간, 휴일 근무수당에 대해서 배수 및 지급 여부를 선택합니다.
상시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의 사업장의 경우 연장/휴일/야간 가산 수당과 연차수당은 지급할 의무가 없습니다.

- 자동화 설정 >> 급여 정책 >> 4.주휴 수당
주휴수당 보다 먼저 알아야 할 개념은 주휴 일로 써 주휴 일이란 1주간 소정근로 일을 개근한 노동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 유급을 부여하는 휴일입니다.
주휴수당에 대한 지급 여부와 상제 조건에 대해서 설정이 가능합니다.

- 자동화 설정 >> 급여 정책 >> 5.연차 수당/퇴직금
사업장의 연차제도와 퇴직금 제도를 설정합니다.

- 자동화 설정 >> 급여 정책 >> 6. 기타수당/공제
사업장의 기타 수당 및 공제 설정합니다.
법적으로 적용되는 비과세 항목과 사업장에서 제공하는 수당, 공제 항목에 대해서 설정을 합니다.
사업장마다 제공하는 수당과 공제 항목이 다를 수 있으니 적용되는 항목이 있다면 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.

Leave a comment